[테스트 셋업 길드] 테스트 디렉토리 구조, 어떻게 잡는게 좋을까요? #132
Replies: 8 comments 2 replies
-
저도 수민님의 의견에 완전히 동의합니다 ! 명쾌하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도 3번이 가장 적합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3번에 한표 합니다. 말씀대로 조금 더 직관적일 것 같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p-iknow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ㅎㅎ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재직 중인 회사 프론트 팀에서도 테스트와 구현체가 같은 폴더 안에 있는 방식을 선호해서 그렇게 작업하곤 있는데, @greatSumini 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오픈소스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3번 방향이 좋을 것 같네요. No Objection 입니다 :p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3번으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앗 뒷북 죄송 오픈소스의 테스트는 서비스 코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는 중요한 부분이고 더 나아가선 스펙정의 역할도 하는걸 생각해보면 장점:
But...
이 발생할 수 있겠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Uh oh!
There was an error while loading. Please reload this page.
-
본격적인 테스트 코드 작성 전에 구조를 먼저 잡으면 좋을 것 같아 작성합니다 ㅎㅎ
.[spec|test].ts
파일을 놓는 방식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백엔드 작업을 할 때는 첫번째를, 프론트엔드 작업을 할 때는 두번째를,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만들 때는 세번째를 선호합니다!
세번째 방식이 src와 tests 폴더의 용도가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온보딩하는 분들의 혼란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여러분들 의견은 어떤가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