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상 일정: 주 1회 2시간(토요일 오후 1시), 주 약 100페이지씩 진도 진행. 약 3주에 한번씩 면접 스터디 1주 진행. 총 11주 진행 과정
- 사전준비
- 책 스터디: 준비한 내용 각자 다 요약하여 스터디 공용 github 레포에 올리기
- 면접 스터디: 화요일까지 면접 질문 범위에서 질문 3개씩 템플릿에 업로드. 면접 질의 준비.
- 랜덤으로 3명의 발표자를 정한다
- 한 사람이 모든 챕터를 20분 발표(20분이 넘으면 바로 컷)
- 발표할 때는 발표자의 화면 공유와 함께 진행
- 발표한 내용 중 토론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토론 추가 진행
- 전 주에 선정한 토끼굴 파기용 주제 토론을 진행
- 종료 전 GPT 프롬프트를 통해 차주 공부할 주제에서 3개의 키워드를 뽑아 한개 키워드를 선정하여 토끼굴 파기 조사를 해온다
- 면접이 있는 주에 질문을 미리 뽑아서 답변 각자 준비해서 오기. 화요일까지 취합
- 문제 은행 문서화 이번주 1~11장
- 문제 최소 3개 정도씩 준비
- 개인 준비사항: 답변 준비 및 연습
- 1명당 답변 3개: 질문은 당일 랜덤 뽑기(소거식)
- 꼬리질문 제한 갯수 정하기(질문당 두 번)
- 면접 한명씩 끝나면 바로 피드백
-
1주차: 1.1 자바스크립트 동등 비교 ~ 1.7 선택이 아닌 필수, 타입스크립트
-
2주차: 2.1 JSX란? ~ 2.5 컴포넌트 함수와 무거운 연산을 기억해 두는 메모이제이션
-
3주차: 3.1 리액트의 모든 훅 파헤치기 ~ 4.2 서버 사이드 렌더링을 위한 리액트 API 살펴보기
-
4주차: 면접 스터디 1.1 ~ 4.2
-
5주차: 4.3 Next.js 톺아보기 ~ 5.2 리액트 훅으로 시작하는 상태 관리
-
6주차: 6.1 리액트 개발 도구란? ~ 8.1 ESLint를 활용한 정적 코드 분석
-
7주차: 8.2 리액트 팀이 권장하는 리액트 테스트 라이브러리 ~ 9.2 깃허브 100% 활용하기
-
8주차: 면접 스터디 4.3 ~ 9.2
-
7주차: 9.3 리액트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 10.1 리액트 17버젼 살펴보기
-
8주차: 10.2 리액트 18 버전 살펴보기 ~ 11.8 정리 및 주의사항
-
9주차: 12.1 웹 사이트와 성능 ~ 13.5 정리
-
10주차: 14.1 리액트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 15.2 언젠가 사라질 수도 있는 리액트
-
11주차: 면접 스터디 9.3 ~ 15.2, 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