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Day 3
SeungHyun Hong edited this page Nov 9, 2023
·
3 revisions
- 멘토링 회고하기
- 기록 탭의 와이어프레임과 디자인 그리기
- BackEnd 데이터 베이스 설계
공통
기술적 도전이라는 것에 대해서 기존에 너무 어렵게 생각했던 것 같다. MC님께서는 너무 쉬운길로 가는것에 대한 우려로 기술적 도전에 대해서 이야기 하신것 같다.
- S020
- 현재 기획에서도 많은 기술적도전이 들어가는 것 같다. 더 이상 고민하지 않고 진행해도 괜찮을 것 같다.
- S035
- 고민이 많아졌었던 것 같다.
- S043
- 귀중한 시간을 가지게 되어 기쁘다. 운영진이 이야기하고자 했던 속뜻을 오해하고 진행해나가려고 했던 우리를 바로잡아주셨다. 사실
- J078
- ❤️
- J130
- 기술적인 도전이란 어떤 것일까? 프로젝트와 백엔드를 처음 접한다면 사실 모든게 도전이고 기술적인 도전이라고 생각한다.
-
그 동안 작성했던, 유저 플로우를 와이어 프레임이라고 하는 뼈대 프레임을 만들어 나갔습니다.
-
로그인 Flow, 기록 Flow 2개를 중점으로 와이어 프레임을 설계해나갔고, iOS, BE가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와이어 프레임을 작성했습니다.
-
로그인 와이어 프레임
-
로그인 화면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로그인을 진행할 때, 간단하게 사진과 밑에 로그인 버튼을 달고 Flow대로 쓰는 방안
- 앱 소개와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하여, 처음에 유저에게 앱에 대한 소개와 Flow대로 쓰는 방안
- 둘중 구현해야할 양이 많아보이기에 일단 단순하게 구현이 가능한 왼쪽을 투표로 결정!
- 이후 기록에 대한 와이어 프레임을 작성했습니다.
- 기록에 대한 유저 프레임을 작성해보았다. 팀원 분들과 얘기를 지속적으로 해본 결과, 버튼을 누르고 다시 되돌아 오는 형태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의견이 존재했습니다.
- 내일 회의 안건으로 제시하고, 각자 구현 Flow에 대해 생각해 오기로 했습니다.
- 이 외에도 프로젝트 명을 Wetri로 결정했습니다. → We + 트라이애슬론
- 로고를 투표로 정하려다가 디자인이 중요한게 아니기에 다음으로 기약했습니다.
-
정용님과 8시 ~ 11시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계를 진행했습니다.
-
1정규화, 2정규화, 3정규화, BNCF 등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각각 정규화단계를 거쳐가며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했습니다.
-
다이어 그램을 이용하면서, 서로 같이 동시에 ERD를 그릴 수 있는 다이어 그램인 DB다이어그램을 이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현재 와이어 프레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영속적으로 저장해야하는 데이터만을 테이블로 구성했습니다.
-
ERD가 계속해서 변한다는건 정말 슬프지만, 멘토님께서 완벽한 설계는 없고, 처음이라면 최대한 많이 반복해라는 말씀을 토대로 계속해서 버전업을 해볼 예정입니다.